식생토낭
식생토낭
식생토낭 공법의 개요
식생토낭은 돌과 콘크리트를 대신하여 이산화탄소 흡수원을 확보함으로 저탄소 녹색성장에 기여하며 특수 설계된 결속판을 이용하여 환경친화적인 영구구조물을 축조합니다.

식생토낭의 단면
뿌리에 의한 2차 결속력 증대

식생토낭 시공순서
-
1. 기초면 정리 후 결속판을 놓는다.
-
2. 결속판 위에 식생토낭을 놓고 토낭의 상단을 다짐한다.
-
3. 첫단에 놓은 인접한 두개의 식생토낭 경계에 결속판을 놓는다.
-
4. 둘째단에 식생토낭을 놓고 토낭의 상단을 다짐한다.
-
5. 상기 설치 과정을 반복하여 실시한다.
환경친화적인 토목자재
환경성 - 친환경 옹벽 및 사면 구축
- 전면벽재의 친환경성 확보
- 대기오염 및 소음 감소
- 열섬현상 완화
블록식 옹벽 | 식생토낭 옹벽 |
---|---|
![]() |
![]() |
시공성 - 시공이 간편한 옹벽 및 사면구축
- 도서산간지역 시공성 향상
- 운반, 보관, 취급이 용이
- 신속하고 단순한 공정
고산지대 철탑 | 식생토낭 시공 |
---|---|
![]() |
![]() |
경제성 - 용벽 및 사면 구축의 경제성 확보
- 블록식 옹벽 대비 30%절감
구 분 | 노무비 | 재료비 | 경 비 | 합 계 | 비 고 |
---|---|---|---|---|---|
식생토낭 옹벽 | 356,703 | 762,244 | 19,373 | 1,138,320 | 100 |
블록식 옹벽 | 402,079 | 1,047,432 | 118,708 | 1,568,219 | 128 |
※ 참고자료 : 2012년 건설공사 표준품셈